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과 핵심인력이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장기 재직한 핵심인력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 상품입니다.
지금 바로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을 통해 간편하게 가입해보세요.
내일채움공제란?
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의 핵심인력이 장기 재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기업과 근로자가 공동으로 일정 금액을 적립한 후 만기 시 성과보상금 형태로 수령하는 상품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인재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핵심인력은 재직 기간 동안 안정적인 자산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 적용 대상: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의 핵심인력
- 공제 형태: 기업과 핵심인력이 최소 5년 이상 매월 공동 적립
- 적립 방식: [핵심인력: 사업주 = 1 : 2 이상] 비율로 납부
- 만기 시 수령액: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세전) 수령 가능
기업과 핵심인력의 혜택
기업 혜택
- 세액공제: 기업이 납입한 금액은 전액 손금(비용)으로 인정되며,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적용 가능
- 세제혜택: 당기 발생액의 25% or 증가발생액(당기 발생액 - 전기 발생액)의 50% 선택
- 적용 핵심인력 장기 근속 유도: 우수 인재를 장기적으로 유지하여 기업 성장에 기여 핵심인력 혜택
- 성과보상금: 만기 시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 수령 가능
- 근로소득세 감면: 기업 납입금에 대한 근로소득세의 50% 상당 감면(중견기업 30% 감면)
- 장기 재직 인센티브: 장기 재직을 통해 더 많은 보상 혜택 수령
내일채움공제 가입 및 납부 방법
가입 방법
온라인 신청: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공동인증서를 이용해 간편하게 신청 가능 방문 신청: 지역 본지부 담당자와 직접 상담을 통해 신청 가능
https://www.sbcplan.or.kr/payment/prdc.do?mCode=C100000000
www.sbcplan.or.kr
납부 방법
- 자동이체: 매월 지정일(5일, 15일, 25일 중 선택)에 자동이체로 납부
- 납부 비율: [핵심인력 : 사업주 = 1 : 2] 비율로 최소 5년간 납부
- 미납 처리 및 재납부: 공제부금 납부일이 공휴일일 경우, 다음 영업일에 수납 처리. 미납 상태일 경우, 홈페이지를 통해 미납 납부 신청 가능
공제금 지급 및 납부 유예
공제금 지급
지급 조건: 최소 5년 이상 재직한 경우 공제금 지급
지급 금액: 중소기업 기여금 + 핵심인력 납부금 + 복리이자(연복리)
계약 연장: 1년 단위로 연장 가능(기간 단축 불가, 만기 후 재가입 가능)
납부 유예
특정 사유(병역 이행, 질병·상해로 인한 입원, 재해, 육아휴직, 경제사유 등)에 해당될 경우, 납부 유예 신청 가능. 자세한 사항은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확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
공제금 수령 시 유의사항
- 가입 기간: 공제계약 성립 후 최소 5년 이상 재직해야 수령 가능
- 계약 해지 시: 중도 해지 시 일부 또는 전액 환수될 수 있으니, 해지 시 유의해야 합니다.
- 근로소득세: 기업 납입금에 대한 근로소득세 감면 혜택은 기업의 최대 주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은 제외됩니다.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과 핵심인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든든한 금융 상품입니다. 기업은 우수 인재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근로자는 안정적인 자산을 마련할 수 있어 모두에게 유익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장기 재직 시 높은 성과보상금을 받을 수 있고, 세제혜택까지 누릴 수 있어 더욱 매력적입니다. 또한, 기업의 납입금은 전액 손금으로 처리되어 기업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내일채움공제를 통해 근로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미래를 준비해보세요. 더 자세한 정보는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가입하여 미래를 위한 준비를 시작해보세요!
'혜택,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통장 금리비교 24년 10월 기준 (12) | 2024.10.04 |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넷플릭스 구독 혜택 (0) | 2024.10.02 |
늘봄학교란? 프로그램 신청 및 2024년 달라진점 (0) | 2024.10.01 |
스포츠바우처 신청 결제 및 홈페이지 (0) | 2024.10.01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0)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