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청년들의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안심주택이라는 주거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청년안심주택은 역세권 및 간선도로변에 위치한 임대주택을 청년들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여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 주택은 대학생, 취업준비생, 청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며, 무주택자인 경우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안심주택은 임대보증금 지원과 임대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입주자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안락한 주거 환경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청년안심주택 혜택
청년안심주택은 주변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되며, 주변 시세의 30%~85% 수준의 가격으로 주택을 공급합니다.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임대보증금의 50%, 최대 4,500만 원까지 무이자 지원 혜택이 제공됩니다. 또한, 청년들이 주거와 일자리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하여, 청춘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혜택
- 임대료: 주변 시세의 30%~85% 수준으로 제공.
- 임대보증금 지원: 임대보증금의 50%, 최대 4,500만 원 무이자 지원.
- 커뮤니티 시설: 청년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 제공.
2. 청년안심주택 입주 대상 및 자격
청년안심주택은 만 19세에서 39세 이하의 대학생, 취업준비생, 청년 및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며, 무주택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주택은 공공임대와 민간임대로 구분되며, 공공임대는 SH가, 민간임대는 민간사업자가 공급합니다.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구분
- 공공임대: SH에서 공급, 주변 시세의 30%~70% 임대료.
- 민간임대: 민간사업자 공급,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나뉘며, 특별공급은 시세의 75%, 일반공급은 시세의 85% 이하로 제공.

3. 청년안심주택 소득 및 자산 기준
청년안심주택의 입주를 위해서는 일정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소득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하며, 자산은 총 자산가액 기준을 따릅니다.
공공임대 소득 및 자산 기준
- 청년: 소득 기준 100% 이하, 총자산 27,300만 원 이하.
- 신혼부부: 소득 기준 120% 이하, 총자산 34,500만 원 이하.
공공지원민간임대 소득 기준
- 특별공급: 소득 기준 100% 이하 (1인 가구 기준 3,482,964원).
- 일반공급: 소득 및 자산 기준 없이 무작위 추첨.




4. 청년안심주택 신청 방법
청년안심주택에 입주하려면 아래의 절차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공임대는 SH 홈페이지에서, 공공지원민간임대는 해당 민간사업자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안심주택 | 청년·신혼부부 지원 | 서울주거포털
서울주거포털,2020년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공급계획 * 공급 호수 및 공급일정은 변동될 수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공급계획 구분 단지명 (주소) 공급호수
housing.seoul.go.kr
신청 절차

5.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사업
청년안심주택에 입주하는 청년과 신혼부부는 임대보증금 지원 사업을 통해 보증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금의 최대 50%, 청년은 4,500만 원, 신혼부부는 6,000만 원까지 무이자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입주 예정자 (공공임대는 해당하지 않음).
신청 방법
임대차 계약 후 임대보증금지원 약정서 작성 및 구비서류 제출.
서울시 용산구 청년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에서 방문 신청 가능.



서울시의 청년안심주택은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저렴한 임대료와 임대보증금 지원으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며,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일자리 및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청년안심주택의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신청 절차를 잘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임대보증금 지원과 같은 추가적인 혜택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경제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하세요. 이번 기회를 통해 서울시의 청년안심주택 정책을 잘 이해하고, 안정된 주거 환경에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