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자녀혜택 47가지 정리 및 신청방법 총정리 2024년도

by 멜리온 2024. 9. 29.

2명부터 혜택 받는 다자녀가구 지원 정책 총정리

 

서울시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다자녀가구의 양육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와 함께 다자녀가구 지원 정책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기존에 3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만 해당되던 다자녀가구 혜택을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기준을 완화했는데요.

 

2024년부터는 더 풍성해진 지원 혜택을 통해 다자녀가구가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소개합니다.

 

서울시의 다자녀가구 지원 정책은 공공시설 이용료 및 공공요금 감면, 주거 지원, 양육 및 교육 지원 등 전 분야에 걸쳐 마련되어 있습니다.

 

올해에는 ‘첫만남 이용권’과 ‘서울형 가사서비스’의 혜택이 확대되었으며, 신규로 추진된 6개의 지원 사업도 다자녀가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1. 다자녀가구 혜택 확대 및 신규 추진

서울시는 다자녀 가족 지원을 위해 ‘3명 이상의 자녀’에서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로 지원 기준을 확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다자녀가구로 인정받는 가구 수가 크게 늘어나고,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출산 초기 양육비 지원, 장기전세주택 우선 공급, 공영주차장 자동 감면 등 새로운 혜택도 신설되었습니다.

 

주요 확대 및 신규 지원 사업

  • 첫만남 이용권: 둘째아 이상에게 기존 2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확대.
  • 서울형 가사서비스: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에 연 10회까지 가사서비스 제공.
  • 다태아 안심보험 무료 가입: 쌍둥이 이상 출산 가정 대상으로 응급실 내원비, 특정 전염병 진단비 등 최대 3,000만 원 지원.
  • 둘째 출산 시 첫째 아이 돌봄 지원: 정부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최대 100% 지원.
  • 장기전세주택Ⅱ(SHift2) 신규 공급: 출산 자녀 수에 따라 최대 20년 거주 기간 연장,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에 매수 가능.
  • 공영주차장 자동 감면: 출차 시 ‘다둥이 행복카드’ 확인 없이 비대면 자동 감면·결제 시행.

신청방법

각 혜택의 신청은 사이트별로 달라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신청해보세요.

 

다자녀혜택 신청하기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147531#scrap

 

다자녀 가족 국가지원제도

두 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국가지원제도

news.seoul.go.kr

 

 

2. 다자녀가구 혜택 세부 내용

서울시는 다자녀가구를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지원 분야와 혜택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2.1 공공시설 이용료 감면

  • 시민청: 시민청 무료 이용.
  • 서울상상나라, 서울형 키즈카페: 2자녀 이상 다자녀 가족 입장료 무료.
  • 시립공영주차장: 주차요금 50% 감면.
  • 서울시립미술관, 서울대공원 : 전시관, 동물원 및 테마가든 입장료 무료.
  • 시립체육시설: 개인연습 사용료 면제, 프로그램 수강료 50% 감면.
  • 서울시민대학, 시립청소년센터 등: 학습비, 사용료 50% 감면.

 

 

 

 

 

 

 

2.2 양육 및 교육 지원

  • 다둥이 행복카드 발급: 공공시설 이용료 및 다자녀 협력업체 할인.
  • 첫만남 이용권 지원: 둘째 이상 자녀 출생 시 300만 원 지급.
  • 둘째 출산 시 첫째아이 돌봄 지원: 출산 후 12세 이하 자녀의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최대 100% 지원.
  • 서울형 가사서비스: 연 10회 가정방문 가사서비스 제공.

 

2.3 공공요금 감면

  • 하수도 요금 감면: 18세 이하 자녀 3명 이상인 가구 사용료 30% 감면.
  • 난방비 감면: 난방요금 월 최대 45.54원/㎡ 감면.
  •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면제: 다자녀 가족 차량에 혼잡통행료 면제 혜택 제공.

 

2.4 주거 지원

  • 장기전세주택 가점 지급: 자녀 수에 따라 가점 부여 (3자녀 5점, 2자녀 3점).
  • 장기전세주택 우선공급: 85㎡ 이하 (2자녀), 85㎡ 초과 (3자녀) 주택 우선 공급.
  • 장기전세주택Ⅱ(SHift2) 신규공급: 출산 자녀 수에 따라 최대 20년 거주 기간 연장,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에 매수 가능.

2.5 건강 및 기타 지원

  • 다태아 안심보험: 17개 항목에 대해 최대 3,000만 원 보험금 지원.
  • 제대혈 비용 지원: 다태아 가정의 제대혈 비용 면제.
  • 우먼업 구직지원금 가점 부여: 구직지원금 지원대상자 선정 시 자녀 가점 부여 (자녀수×5점).

3. 다자녀가구 지원 정책 이용 시 유의사항

다자녀가구 지원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자녀 가구임을 증명할 수 있는 ‘다둥이 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다둥이 행복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혜택이 제한될 수 있으니, 해당 카드 발급 후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또한, 지원 혜택은 각 사업에 따라 신청 기한과 절차가 다르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는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세부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주거 지원 및 양육 지원 사업은 신청 인원이 많아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사전에 관련 정보를 충분히 확인한 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부터 서울시는 다자녀가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 혜택을 확대하고 신규 사업을 추진하며, 양육 및 주거 환경의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자녀가구는 양육비, 교육비, 주거 안정 등 다양한 부분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로 지원 기준이 확대된 만큼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다자녀가구 지원 혜택은 각 사업별로 신청 조건이 다르므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다자녀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출산율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다자녀가구 혜택을 잘 확인하고,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자녀가구 지원 정책의 변화와 추가 혜택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세요!